본문 바로가기

문화/민욱아빠의서평

리얼진보, 19개의 진보 프레임으로 보는 진짜 세상; 강수돌 외 17인

 

 상황의 아이러니.. 자기성찰적인 면에서 보자면 이명박정부의 탄생은 인민이 극우보수독재세력을 넘어 소위 진보적 성향을 지녔다는 김대중, 노무현 정부를 탄생시켰지만 어떠한 희생도 감수하려 하지 않은 채 먹고사는 문제와 경쟁의 욕망에 사로잡혀 스스로 세운 마몬의 제단이다. 그리고 사회적 측면에서 보자면 권력이 독재의 주먹에서 자본의 힘으로 넘어갔고 그 중간에서 이행과정을 충실하게 수행한 세력은 김대중, 노무현 세력이었다. 더욱 극단적인 모습의 자본화를 진행시킨 결과가 이명박 정부임은 노무현 정권 이후의 당연한 수순인 것이다. 돌이켜보면 모든 것이 당연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진보세력은 성찰과 반성, 그리고 나아갈 방법을 제시한다. 그런데 그 이야기들은 일정한 시간적 흐름 속에서 미세한 변화만 느껴질 뿐, 대체적으로는 지금껏 들어왔고 그렇다 생각해왔던 이야기들이다.

 

 진보세력의 주장이 지금껏 큰 의미차원에서 변하지 않았다는 것은 그만큼 우경화된 사회에서 그들의 주장이 쉽게 받아들여질 수 없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렇게 오랫동안 이야기했는데도 알아듣고 이해해주는 사람 역시 늘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읽는 내내 옳고 또 옳은 이야기라 생각했지만, 내용에 있어 새로움을 느낄 수가 없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이런 좋은 이야기들이 왜 일반 서민과 인민들에게 쉽게 접근하고 스며들지 못하는가 하는 의문이 들었다. 무상급식, 무상의료, 복지확대에 대해 긍정하면서도 비현실적이라 쉽게 포기해버리는 인민들, 4대강 사업은 분명 대재앙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것임이 분명한데 이를 적극 찬성하는 이들은 공사지역 인근의 평범한 지역서민들이라는 아이러니한 현실.. 대체 우리의 인민들의 머릿속에서는 어떤 기제가 더이상의 사고를 가로막고 있으며, 진보는 왜 이들을 설득하지 못하고 있는가.. 이책 안에서 이런 이야기들이 나오기는 하지만 여전히 의문으로 시작하여 의문으로 마무리되는 것을 보며, 누군가가 이야기한 진보의 정의가 생각난다. "진보는 비현실적인 것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일이다." 애초부터 실현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내재화시켰기 때문일까?

 

 노무현에 대한 애증 역시 곳곳에서 묻어난다. 노무현이 망가뜨린 진보의 길이기에 더욱 비판하고 뛰어넘어야 할 일이지 않을까 싶지만 이 책은 노무현의 유작 <진보의 미래> 서평까지 실으면서 그에 대한 애증을 표현한다. 물론 현대사에 있어 노무현의 가치는 무게가 만만치 않고 그를 비판하여 뛰어넘어야 하지만, 애초에 그를 뛰어넘어 멀찌감치 갔어야 할 진보의 현위치에서 아직도 그를 의식한다는 것은 진보의 취약한 대중성을 반증하는 일이기도 하며, 그가 대통령 시절 벌인 정책들과 행동들 그리고 진보가 제시하는 이상향적인 정책과 대안들 사이에서 현실성과 비현실성을 비교, 고민하는 일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독재적 분위기에 의한 것이든 자본의 광대한 위력에 의한 것이든 한국이라는 여전한 우경화 사회 속에서 진보의 현실적 한계가 분명하게 느껴지는 모습니다.

 

 여전히 답답하다. 나 역시 진보를 지지하고 나의 삶 속에서 조금씩이나마 실천하며 살아가려 하고 있지만, 여전한 한계적 상황과 진보세력의 한계적 모습 속에서 과연 해결책은 만들어질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지배적인 것은 사실이다. 지금 한반도는 정체성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남과 북의 정권들이 전쟁의 위협까지 유발시켜 체제유지에 골몰하고 있는데, 인민들은 여전히 그 분위기에 불안감만 느끼며 그들의 의도대로 생각하고 움직이니 답답하기만 할 뿐이다. 생각이 한없이 가벼워진 이들은 내가 살고 있는 삶에 대한 차분한 고민보다는 곳곳에서 펼쳐지는 말초적 흥분에 쉽게 동화되어 두뇌의 작동을 스스로 정지시켜버렸다. 그나마 피었던 진보의 싹이 성장에 필요한 물과 양분을 공급받지 못해 시들어가고 있는 중이다. 어떻게 할 것인가? 여전히 질문으로만 존재하는 우리의 고민. 제목에 적힌 진짜세상은 아직 꿈 속의 세상마냥 현실성이 없어보이는 요원한 세상이다.

 


이 글은 민욱아빠의 블로그(http://blog.daum.net/heroyw1)에 실린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