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유센터 소식

[치유] 온라인 줌회의로 만난 집단후속모임

인권의학연구소는 지난 10여 년 동안 트라우마 피해생존자 삶의 원상회복을 위해 개인상담과 집단상담 등  치유지원활동을 지속해 왔다. 특히 개인상담 또는 집단치유 프로그램을 마친 국가폭력 생존자들의 후속 집단문화치유 프로그램으로서 2015년부터 시작한 길음판소리 모임은  6년 동안 아래 연혁과 같이 활발하게 활동해 왔다.

 

 <길음 판소리 활동 연혁>

 

     2015 : (1) 2015 국제고문피해자 지원의날 행사 공연 (성재덕관)

                   (2) 2015 재일한국인 11.22사건 40주년 행사 공연 (오사카)

2016 : (3) 2016 국제고문피해자 지원의날 행사 공연 (국회)

2017 : (4) 2017 국제고문피해자 지원의날 행사 공연 (국회)

2018 : (5) 2018 국제고문피해자 지원의날 행사 공연 (국회)

2019 : (6) 2019 국제고문피해자 지원의날 행사 공연 (국회)

      2019 “우리 함께” 행사 공연 (성재덕관)

2020 : (7) 활동 못 함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 상황으로 길음판소리 문화치유프로그램은 큰 변화에 직면했다. 매주 판소리를 떼창으로 연습하는 방식은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말 확산의 가능성으로 인해 모임을 전면 중지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생존자들과 회원들은 매주 인권의학연구소에 모여 판소리 연습을 할 수 없었으며, 연습의 기량을 드러낼 각종 행사 공연도 모두 취소되었다. 1년이 다 되도록 연습이나 행사 공연의 기회를 가질 수 없었던 생존자들에게 2020년은 각자의 현장에서 고립된 한 해가 된 것이다. 인권의학연구소는 그동안 연습에 사용했던 길음판소리 악보들을 모아 악보집으로 편집하여 생존자들과 회원들에게 배부하여 각자 집에서 연습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도 하였다.

 

새해가 되어도 코로나19 상황이 종식되지 않고 지속되면서, 인권의학연구소는 길음판소리 국가폭력 생존자들과 온라인으로 만나는 것을 시도하였다. 처음에는 길음판소리 생존자들 대부분이 온라인 방식의 모임에 접속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아 사무국의 기술적 지원이 필요했다. 2 1일. 1시!  드디어 모임 초청 링크를 통해 한 명 두 명 접속해서 화면에 모습과 목소리가 나오자, 모두들 동시에 반가움을 나누느라 소리가 엉켜 잘 들리지 않았으나 환하게 웃는 표정에서 충분히 짐작할 수 있었다. 이후 매주 길음판소리 국가폭력 피해생존자들의 줌회의를 통한 4차례의 온라인 만남이 가능하게 되었다. 

 

첫 만남 (2 1, 1)에서는 화상을 통하여 그동안 못 만났던 생존자들간 인사와 근황 이야기를 나누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참여자들은 예년의 길음판소리 공연 실황을 동영상으로 보면서 그 시간들을 회상하기도 했다.

 

(사진) 첫번째 온라인 집단치유모임  

두 번째 모임 (2 8, 1)에서는 구명우 회원의 판소리 독창으로 '사랑가'를 듣는 것으로 모임을 시작하였다. 이화영 소장이 건강하고 주체적인 삶의 연장선에서 웰다잉은 각자의 존엄한 삶을 주체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임을 말하면서 회원들 각자가 준비하는 삶의 마무리 작업들을 서로 나누기도 하였다. 유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장묘 준비 등의 이야기를 함께 나누면서 만약 내 삶이 1개월정도 남았다고 가정할 때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에 대한 각자의 생각을 다음 모임에 서로 나누기로 하였다.

(사진) 두번째 온라인 집단치유모임

세 번째 모임 (2 15, 1)에서 이화영 소장의 월다잉에 대한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이 있었다. 강의 후, '사전 연명의료 의향서 작성을 어디에서 어떻게 하는가?'를 두고 4월~6월 경에 ()호스피스 코리아 실무자의 연구소 방문을 통해 함께 설명을 듣고 작성하는 기회를 갖기로 하였다. '웰다잉'에 이어 다움 모임부터는 '웰빙'을 모임의 주제로 삼기로 하였고, 참여자 중에서 수면장애 건망증을 제안하여 이 주제로 네 번째 모임을 갖기로 하였다. 

 

(사진) 세 번째 온라인 집단치유모임 슬라이드 자료  

마침내 네 번째 모임을 위해 2 24 () 1시에 손창호 정신과 전문의를 줌회의로 초청하였고, 수면장애 건망증‘ ’치매에 대한 주제로 집담회를 가졌다. 기조 강의를 통해 수면장애 증세에 대처하는 일상적 팁(tip)으로부터 약물 사용에 이르기까지의 전반적 내용을 들었으며, 질의응답을 통해 건망증과 치매의 차이도 알 수 있었다. 인권의학연구소는 희망하는 생존자들을 대상으로 치매 예방을 위해 향후 치매 검사를 녹색병원에서 정신건강검진 차원에서 진행하는 것을 제안, 공지하였다.

 

(사진) 네 번째 온라인 집단치유모임에 초청된 손창호 정신과 전문의

생존자들은 평균연령이 60대 후반임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이나 노트븍으로 줌회의 링크를 통해 온라인 회의에 참석하였는데, 이 과정은 피해생존자들의 효능감 증진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온라인 회의에서 후속 집단모임의 주제를 정하면서 참여하는 생존자들이 주도적으로 관심있는 주제를 제시하고 정하도록 하였다. 인권의학연구소는 그 주제에 맞는 전문가를 섭외하여 초청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과정은 생존자의 역량이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